본문 바로가기

주식

포스코 리튬 관련주 테마 총정리

반응형

최근 시장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포스코 리튬 관련주 특징주 포스코, 포스코강판, 포스코엠텍, 포스코 ICT, 포스코케미칼, 웰크론한텍, 휘닉스소재 에 대하여 알아보자.

포스코 리튬 관련주 썸네일

 

목차

    포스코 리튬 테마

    newsis.com/view/?id=NISX20210414_0001406748&cID=13001&pID=13000

     

    포스코, 4만3천톤 규모 광석 리튬 추출 공장 설립

    【서울=뉴시스】옥승욱 기자 = 포스코가 리튬 추출 기술 검증을 마치고 상용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www.newsis.com

    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4/313462/

     

    포스코, 철강에 수소·배터리 장착…100년기업 간다

    창립 53주년 맞아 `그린 & 모빌리티` 변신 선언 친환경소재 등 사업 다변화 탄소중립 시대 대비하기로 최정우 회장, ESG도 강조 "지속가능 경영위한 기본" 포항시민에 문화공간 선물

    www.mk.co.kr


    포스코는 9일 광양에 연간 4만 3천 톤 규모의 광석 리튬 추출 공장 투자사업을 승인받았다고 14일 밝혔다. 공장은 전기차 10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다. 포스코가 추진하는 리튬 추출공장은 호주에서 생산되는 리튬 광석을 주원료로 한다. 자체 개발한 생산 공정을 적용할 계획이며, 오는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 상반기 착공이 시작된다. 포스코는 최근 이슈가 된 아르헨티나의 염호에도 연간 2만 5천 톤 규모의 공장을 현지 착공할 예정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이차전지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니켈 함유량이 80%가 넘어가는 양극재가 개발되고 있고, 양극재에는 수산화리튬이 연료로 쓰인다. 이에 포스코는 미래의 2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기 위하여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고용량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 원료인 노 순도 니켈의 추가 생산과 차세대 2차 전지의 전고체 소재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가 리튬 관련 공장과 기술에 큰 투자를 하고 있고, 과거 아르헨티나의 리튬 염효 의 가치 재평가 등으로, 관련 주들이 한번 질주했던 경험이 있음으로 미래에 주목될 포스코 리튬 테마 관련주들을 살펴보겠다.

     

    포스코 005490

    포스코의 주봉과 일봉

    배터리 전쟁 격화 속…포스코 '리튬 보국' 선언

    포스코,  광양에 전기차 100만대 규모 리튬 공장 설립

     

    [특징주] 칠레 리튬 프로젝트 사업자 선정, 삼성 SDI·POSCO ‘동반 강세’

     

    -포스코는 2018년 아르헨티나의 '옴브레 무에르토' 리튬 염호를 3000억에 인수하였다. 호수의 리튬 매장량은 추정량 220만 톤보다 6배로 늘어난 1350만 톤으로 확인되었고, 최근 중국 탄산 리튬 현물 가격이 톤당 5000달러에서 11000달러로 2배이상 가치가 불어나자 주가가 급등한 적이 있다. 포스코는 113일 광양에 4만 3천 톤 규모의 리튬 공장을 설립하여 리튬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였다.

    • 동사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음.
    • 공정거래법상 포스코 기업집단에 속해 있으며 현재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39개로, 포스코, 포스코강판, 포스코대우, 포스코아이시티, 포스코켐텍, 포스코엠텍 등이 있음.
    • 매출은 철강부문 49.18%, 무역부문 34.14%, E&C부문 11.56%, 기타부문 5.12%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은 53.5% 감소, 당기순이익은 49.5% 감소.
    • 부진한 수요로 탄소강 ASP는 하락했으나, 원재료 투입단가 하락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스프레드가 유지.
    • 광양 3고로 재가동과 자동차용 강재를 중심으로 전체 판매량 회복에 따른 고정비 부담 축소 및 고부가 제품인 자동차강판을 비롯한 WTP 판매량 증가에 따른 Sales Mix 개선

    포스코는 포스코그룹의 지주사로 포스코엠텍, 포스코강판, 포스코ICT, 포스코 케미컬 등등을 거느리고 있다.

     

    포스코엠텍 009520

    포스코엠텍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포스코엠텍, 포스코 4만 3000톤 리튬 사업 본격화 소식에 강세

    [특징주] 포스코그룹주, 보유 리튬 가치 35조 전망에 상승세

    -포스코의 공장을 위탁 운영하는 업체이다.  과거 포스코 리튬 호수 관련 소식이 들릴때 상한가에 간 적이 있다.

    •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포스코 페로망간 공장, 동판재 공장 등을 위탁 운영하며 해당 역량을 확대하고 있음.
    • 동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 철강산업은 원재료 가격 급등, 중국발 과잉 생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 삼중고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매출은 포장작업 58.55%, 철강원료 28.32%, 위탁운영 11.68%, 엔지니어링 1.45%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9.1% 감소, 당기순이익은 9.8% 감소.
    • POSCO의 조강생산량 및 제품 판매량이 각각 949만 톤, 889만 톤으로 당초 예상하였던 수준을 상회하였고 탈산제 롤마진도 개선.
    • 철강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전방산업으로의 공급계약이 갱신됨에 따라 동사의 이익 수준은 전분기 대비 낮아진 것으로 판단.

    포스코 그룹의 상장사라는 이유로 포스코 리튬 주에 편입되었다. 13일 포스코 리튬 관련 뉴스가 나온 후 시간 외 상승률이 포스코 그룹 중에서 가장 높다.

     

    포스코강판 058430

    포스코 강판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 포스코그룹株, 리튬 호수 가치 부각에 강세

    -포스코 강판 전기차용 강판을 생산 중이다. 과거 포스코 리튬 호수 관련 소식이 들릴 때 같이 급등한 이력이 있다.

    • 동사는 1988년 2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8월 16일에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는 표면처리 강판 제조 전문기업으로 도금강판과 컬러강판을 생산하여 건설, 자동차, 가전산업 등에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포스코의 계열회사로 국내에 도금공장 2개 라인, 컬러공장 4개 라인, 해외에 도금공장 1개 라인, 컬러공장 1개 라인으로 총 8개의 생산라인을 갖춤.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 감소, 영업이익은 32.9% 증가, 당기순이익은 47.4% 증가.
    •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매출액의 경우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원가율 개선을 바탕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 2013년 설립한 미얀마 최초 컬러강판 생산법인과 2019년 포스코로부터 인수한 도금강판 생산법인을 통합하여 미얀마 철강시장에서 성장을 추진 중.

    포스코 그룹의 상장사라는 이유로 포스코 리튬 주에 편입되었다.

     

    포스코ICT 022100

    포스코ICT 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 리튬 호수 '잭팟'에 포스코그룹주 강세

    -포스코 그룹의 핵심 계열사이다, 과거 포스코 케미컬이 전기차 소재를 개발한다는 소식이 들릴 때 같이 급당 한 이력이 있다.

    • 동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11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ICT와 Engineering 융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철강분야를 주력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ICT설루션을 기반으로 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세계 최초 연속공정 '포스 프레임' 플랫폼을 기반으로 포스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확대함으로써 경영성과를 보임.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 영업이익은 5.8% 증가, 당기순이익은 10% 감소.
    • 스마트 물류를 중심으로 수주가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성장세를 나타냄. 판매비와 관리비가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 동사는 분류 물류 사업으로 진출하여 한진 등 물류기업의 대규모 물류센터 구축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Smart Logistics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 중임.

    포스코 그룹의 상장사라는 이유로 포스코 리튬 주에 편입되었다.

     

    포스코케미칼 003670

    포스코케미칼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 리튬 호수 가치 부각... 포스코그룹株 강세

     

    -포스코그룹의 화학 및 소재 전문 계열사이다. 양극재, 음극재 등 2차 전지, 리튬이온 전지 핵심 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는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1년 설립.
    • 1994년에 염기성 내화물의 제조와 판매 등의 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을 흡수 합병함.
    • 기업집단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총 34개임. 국내 내화물 시장에서 약 22%(2018년 기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40.8% 감소, 당기순이익은 84.1% 감소.
    •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급증 영향으로 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포스코그룹의 리튬이온 전지 핵심 재료 개발 계열사로, 포스코의 당 양 공장이 설립되면 큰 수혜를 입을 걸로 예측된다.

     

    웰크론한텍 076080

    웰크론한텍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 웰크론한텍, 포스코의 리튬 공장 설립 소식에 강세

    [특징주] 美 GM, 포스코에 배터리 핵심소재 직거래 제안… 관련株 강세

     

    [생생코스닥] 웰크론한텍, 포스코 2차 전지 설비 확대 최대 수혜…“↑”

     

    -포스코 케미컬에 설비를 공급한 전력이 있고 2016년 포스코에 수산화리튬 설비를 공급하였다.

    • 동사는 1994년 1월 1일 개인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95년 1월 12일 법인으로 전환, 2008년 7월 18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동사는 물, 환경, 에너지 관련 플랜트 및 플랜트 종합건설을 주 사업으로 영위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발전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건축설계, 감리 및 CM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에너지 절감 설비에서 주력제품은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키는 MVR 농축설비로 국내 시장점유율은 40%로 추정됨.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2%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동사의 사업 부문은 건설/플랜트/에너지 등 크게 3가지 부문이며 이중 건설 부문 매출 비중이 전체의 약 70%로 가장 높음.
    • 기존 플랜트 시장을 기반으로 고객군을 확보하고, 특화된 전문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공동수주, 신성장 부분(바이오, 대체에너지, 친환경 등) 관련 프로젝트 발굴 등 적극적인 영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포스코그룹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니켈이나 리튬의 고효율 추출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휘닉스소재

    휘닉스소재의 주봉과 일봉

    [특징주] 휘닉스소재, 양극재 합작사 포스코케미칼 GM 5조원 원료공급에 강세

    [특징주]휘닉스소재, 포스코 ESM에 100만 주 매수청구권 행사… 급등

     

    [특징주] 휘닉스소재, 남북 정상회담... 북한 포스코와 자원개발 합작 기대 '강세'

     

    -포스코사와 2차 전지 소재 합작사인 포스코 ESM을 출범했다. 포스코 GM LG에너지 설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합 잡법인에 양극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다.

    • 동사는 2000년 6월 설립되었으며 2004년 6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동사는 고부가가치 소재사업인 Metal Paste사업, 반도체 패키징용 솔더볼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 및 영업력을 확장해나가고 있음.
    • 글로벌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이어지지만 4차 산업혁명 가속화로 인한 반도체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안정적 가격 흐름을 지속할 전망.
    •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2% 감소, 영업손실은 261.4% 증가, 당기순손실은 2% 증가.
    •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고 판관비가 증가하며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손실 또한 증가함.
    • 동사는 2020년 9월 30일 현재 특허출원 17건, 특허등록 36건의 실적을 보이고 있음.

    포스코에 2차 전지 관련 부품을 납품하고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음으로 관련주로 편입되었다.

    반응형